앰프93 크렐 KAV 300i 앰프 정보 모으기 크렐 300i 장점동급 인티 최고수준 구동력흠잡을 곳 없는 마감. 고급스러운 디자인. (리모콘이 이상하게 허접하다. +_+) 단점소리가 거칠다. (경질)발열로 부품 열화가 빠르다. 총평 추천 -> 앰프는 구동력이 제일 중요하다! 소스나 케이블, 프리앰프 등으로 맞추는게 오디오 재미다. 비추천 -> 단촐한 맛에 인티앰프를 선택하는 오디오파일들에게는 "귀가 아프다, 쏜다, 음악성이 없다 " 등 혹평을 듣는 경우도 많다. 처음에 와 했다가, 장터에 많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이 부분이 보완된 것이 크렐 400xi 라고 생각하는데, 기존 300i 매니아들과 호불호가 갈림. 추천 베스트 매칭 AR3A , ATC 7 구형 , 다인 1.3mk2 등 웬만한 스피커는 다 잘 울려준다. 앰프의 성향이 매우 강한 기종이.. 앰프/인티 앰프 2014. 3. 31. B&W의 앰프 자회사 AURA (오라)인티앰프( 오라 va-50,100,100ls )정보 모으기 ※ 오라 프리미어, 오라 그루브 등은 한국의 에이프릴 뮤직에서 AURA 브랜드만 사서 제조한 것이고, 이 글에서는 B&W의 자회사로서 앰프를 제작하던 영국 원조 Aura 앰프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현재 국내 중고시세로 30만원선인데, 가격대 베스트로 추천. 보스 1705, 1706 등과 비교하면....오라로선 참 기분나쁘겠다. 초기 대히트 모델인 Aura va 50,80,100,100-2 까지는 슬림형에 작은 사이즈로 볼 수 있고, va 100ls , 150 은 두께와 깊이가 더 커져서, 일반적인 인티앰프 사이즈라고 할 수 있다. 오라 AURA는 B&W 의 자회사로 앰프를 제작하면서, B&W 북쉘프들과 궁합이 좋기로도 유명하다. 클래식 소편성/현악에 끝내준다! 맑고, 포근한 진공관 스러운 음색으로 3/.. 앰프/인티 앰프 2014. 3. 25. 야마하 프리앰프 c-70, c80, c-85, m-70 중저가지만 실용 프리앰프로 유명한 야마하 프리. 요약 C-50C-60 : C-50의 수출용 버전.C-70 : 81년 출시. 내수,수출 동일.C-80 : 84년 출시. C70 단종 후, C-70의 수출용이지만 약간 다운 그레이드(?).전면패널 두껑을 열면 각종 노브, 버튼들이 있는데 그것들도 몇 개 다르고, 무엇보다 C-70엔 라우드니스 기능이 없지만, C-80은 볼륨 주위에 라우드니스 볼륨을 감싼 이중형태로 되어 있읍니다. C-85C-1CX-1C-1000C-10000C-2C-2AC-2X : 최상급 실제 청음해보니. 일본 내수용제품과 수출형버전의 소리결은 좀 차이가 있었슴니다. 야마하프리는 셀렉터(모든 돌리는 부속.) 조작시 잡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서 구입시 죄다 테스트 해보고 구입해야 합니다. 국내장.. 앰프/분리형(프리 파워 앰프) 2014. 3. 22. 영국 크릭의 명기 5050/6060 정보모으기 ( creek 5050, creek6060 ) 구형 크릭 앰프는 빈자의 네임(NAIM) , 만능 앰프 라는 애칭이 있었다.국내에서도 한 때 오디오 입문의 정석으로 불렸었고, 매물이 워낙 적어서 구하기도 어렵다. 특징 소비전력 10W 수준임에도 스피커를 가리지 않는 만능 앰프. AR3A 의 묵직한 저역을 컨트롤할 수 있다. 진동으로 느껴지는 초저역을 핸들링 할 수 있다.단정한 중역.고역은 약간 뭉퉁하고, 예쁘지 않다. 귀 아프지 않다고, 이런 소리를 더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장점이라고 할 수는 없겠다. (현대 하이엔드 앰프들의 고음은 고운 입자처럼 부드럽고, 예쁨과 비교했을 때 이야기임) 뮤피 A1, 오디오랩 8000A, 오라VA50, 크릭5050/6060 등 소위 90년대를 휩쓸던 영국제 4인방 중에서 개인적으로 단연 크릭이라고 생각한다.단점으로.. 앰프/인티 앰프 2014. 3. 21. 장덕수 오디오 2014년은 당사의 음 기조를 하이엔드 성향과 음악성, 예술적인 부분에 역점을 둔 로맨틱한 성향의 두 분류로 구분하여 제품을 제작할 예정입니다. 1. 20주년 기념 제품 프리앰프 P20, 파워앰프 M20 프리파워 1set 1000만원 (세트로만 판매되는 제품임.) 2. 프리 P18, 파워 M18 - 로맨틱 성향(1 set : 200+200=400만원) 기존제품에서 업그레이드되어 판매됨. 3. 인티앰프 디렉터 2 - 하이엔드 성향(180만원) 기존제품에서 업그레이드되어 판매됨. 4. 인티앰프 Romanticist - 로맨틱 성향의 고급앰프(180만원) 기존제품에서 업그레이드되어 판매됨. 5. 인티앰프 마에스트로 250만원 기존제품에서 업그레이드되어 판매됨. 6. 인티앰프 벤치마크 - 하이엔드 성향(98만원.. 앰프/인티 앰프 2014. 3. 19. 80년대 전후 국산 오디오는 왜 그리도 하이엔드에 필적할까? 그 당시 인켈. 아남, 롯데 등 수많은 오디오들. 좋아하는 소리의 성향 차이일뿐, 놀랍게도 다들 명기고, 부품 몇 개 바꾸면 하이엔드라고들 한다. 헐... 헐.................. 근데, 왜 튜너는 2~5만원, 앰프는 3~20만원 에 돌고 돌고 돌까?많이 풀려서? 7-80년대 마란츠,산수이,켄우드,파이오니아 등에는 굉장히 엄격한 잣대를 들이댄다. 그런데, 가격은 쭉쭉 올라간다. 우리 나라 뿐 아니라 , 이베이에서도 매년 가격이 치솟고 있다. 외산 오디오에는 성향이 다르면 난 고음이 쏘니, 구동력이 없니, 벙벙거리니 퍼붓지만, 국산에는 참으로 관대하다. ^^ 그러면, 외국에선 왜 안써줄까? 그렇게 싼대도! 명품 같은 소리하네... 전 세계가 애플 아이폰에 열광할 때, 국내에선 옴니아가 아이폰보다.. 앰프/분리형(프리 파워 앰프) 2014. 3. 8. 인켈 프리앰프 SAE P102 인켈 SAE P102 프리앰프. 욕도 참 많이 먹는다... SAE502 파워의 명성을 깎아먹는 주범이 저 프리앰프 P102 다.중고로는 5만원 정도면 구할 것이다.대체 프리들이 많이 추천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야마하 C50,70 과 같은 프리앰프들이다. 프리앰프 만들기가 참으로 어려운가 보다. 고물상에서 주워다 고쳐서 쓰고 있는 뮤피 P172 프리앰프도 뮤피의 담백하고, 정갈한 소리로 참좋았는데.. SAE 102 프리앰프도 디자인이나 기능은 참 좋은데 80년대의 설계개념으로 만들어졌다 보니 tone control by-pass 기능이 없고 내부회로구조가 길고 복잡합니다. 그 결과 음의 해상도가 떨어집니다. 또한 포노단자의 MC는 들을만 한데 MM은 S/N비가 낮고 소리가 영 아닙니다. 다르게 얘기하면, 이.. 앰프/분리형(프리 파워 앰프) 2014. 3. 6. Musical Fidelity P172(pre)+P270(power) Musical Fidelity P172(pre)+P270(power) 조합 영국내에서 오디오계의 귀재라 불리우는 안토니 마이클슨(Anthone Michaelson)이 설립한 하이파이 오디오 전문회사로 고음질을 위한 독특한 내부회로 설계로 음질 중시형 앰프들을 착한가격에 발매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1985년 영국의 Musical Fidelity사에서 발매한 A클레스 방식의 A1이 소개되면서 전세계적으로 폭팔 적인 인기를 얻으며 국내에도 많은 Musical Fidelity의 유저분들이 생겨 났읍니다.이후 A1x과 A100x와 분리형인 P270+P172등이 국내에서 꾸준한 인기를 끌었읍니다. P270은 1986년 발매후 1990년대 출력을 보강하여 270-2를 발표하였다 하는데 270과 270-2는 출력이 8.. 앰프/분리형(프리 파워 앰프) 2014. 3. 6. 인켈 SAE P102/502 와 PD2100/MD2200 간단 비교 에잇 나중에 작성 예정. 튜너 : SAE T102 = TD2000 막상 막하. (스펙상 아주 미세하게 TD2000이 나은 수준이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튜너라고 봐도 무방하고, 기타 만듦새(특히, 강판)와 디자인 감안하여 T102 시세가 약간 더 비싼편. 그래봤자 중고가 1~2만원 차이. ^^ 실제 내구성과 조작성등에서는 TD2100내지 TD2010 이 훨씬 좋다. 프리 : SAE P102 AM1311T > MD2200파워앰프로서 훌륭하지만, 502 가 너무나 뛰어나다. 하이엔드 명기급이라고는 못해도, 하이엔드에 가.. 앰프/분리형(프리 파워 앰프) 2014. 3. 4. 황준 새임 네임 (Naim) 오디오 평 네임의 파워앰프에 대해서 황준 오디오 바이블제가 네임 앰프들에 대해 이미 여러번 언급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파워앰프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한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네임파워들을 대부분 사용해 보았는데요. 그러다 보니 네임 파워앰프들의 성능이나 특성같은 것을 좀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구형 네임 파워앰프(크롬도금)들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일반적으로 구형 네임의 최고 파워앰프는 NAP-250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더 상급기인 NAP-135 라는 모노모노형 앰프가 있습니다만, 주 변에 많이 보이는 앰프는 아닙니다. 과거에는 NAP-135라는 파워를 실재 보기도 쉽지 않았는데, 얼마전부터는 많이 보이는 듯합니다. NAP-135 모노모노 파워는 가격도 NAP-250.. 앰프/Naim 네임 오디오 2014. 2. 25. 네임 NAIM 오디오 연혁 / 히스토리 네임 오디오 연혁https://www.naimaudio.com/our-story/18043/heritage 1973 줄리안 베레커. 네임 오디오 설립. Naim Audio Officially Founded Following the success of Capital Radio, Naim was officially incorporated in 1973 with Julian Vereker and his co-founder Shirley Clarke as directors. 최초의 홈오디오 앰프인 NAP 200 power amplifier 출시. 1974년 ‘NAC-12' 발매. 프리앰프. 1976년 ‘NAC-22' 발매. 프리앰프. 1977년 ‘NAC-32' 발매. 프리앰프. 'NAXO-2' 발매. 2웨이 크.. 앰프/Naim 네임 오디오 2014. 2. 19. 아캄 AVR 300 하이파이 A/V 병행용 리시버 AV 리시버는 가격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하이파이 음악은 계속 2.1 채널이나, 비디오 테잎시절부터 DVD , 블루레이, 이제는 UHD 시장을 향해 얼마나 빨리 변하는가. 이 모델의 입력단은 비디오시절에 DVD 보급 초창기 시절밖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요새 흔해빠진 HDMI도 없고...그냥 하이파이 앰프로 쓰기에는 불필요하게 크지 않나? 올인원으로 생각하면 괜찮기도 하겠지만....흠...AV 리시버는 구입에는 여전히 손이 안간다. ARCAM"은 1972년 영국 캠브리지에서, Amplification & Recording 이라는 명칭으로, 현사장 John Dawson과 그 친구 Chris Evans에 의해 창립되었습니다. Dawson은 당시 캠브리지 대학에서 물리학을 배우면서 PA 앰프와 스피커를 설계.. 앰프/인티 앰프 2014. 2. 14.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